
추도사 읽으며 오열하는 김신영
(엑스포츠뉴스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이예진 기자) 개그맨 김신영이 오랜 스승 고 전유성의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했고, 목놓아 오열했다.
28일 오전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고 전유성의 영결식이 엄수됐다. 고인의 장례는 코미디언협회장으로 치러졌다.
고인과 긴 세월을 함께한 후배 코미디언 최양락이 약력을 소개하고, 이홍렬·김신영이 추도사를 읽었다.
표인봉이 기도를 올리고, 개·폐식은 장의위원장을 맡은 김학래 대한민국방송코미디언협회장이 맡았다. 전체 영결식은 이수근이 진행했다.
이날 이수근은 "선생님을 하늘나라로 보내드리는 날이다. 이자리에 많은 선후배님들이 전유성 선생님을 보내드리기 위해 모였다. 숙연한 마음으로 고인을 편안하게 모시면 감사하겠다"라고 전했다.
이홍렬은 추도사를 읽으며 "선배님은 1960년대 말 젊은 작가로 방송에 들어와 아 무대와 안방, 라디오와의 영화 그리고 거리의 공연까지 경계를 허무시며 한국 코미디의 지형을 새로 그리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개그맨이라는 말을 대중 속에 뿌리내리게 하셨고, 공개 코미디의 바람을 일으켜 더 많은 관객이 웃음의 주인이 되게 하셨습니다"라며 "선배님이 남긴 발자취는 지금도 우리 업의 교과서입니다. 저에게 선배님은 특히 책을 통해 다가오신 분입니다. 코미디언들이 쓴 책을 모아보면 어떻겠니라는 한마디가 씨앗이 되어 저는 동료들이 남긴 책들을 모으기 시작했고, 마침내 남산 시립 도서관에 영구 보존하는 작은 결실을 보았습니다. 그 길의 시작에도 늘 선배님이 계셨습니다. 수십 년 전 전화로 '홍렬아 주소 불러봐 책 보내주게' 하시던 그 목소리 저는 평생 잊지 못할겁니다. 선배님에게 코미디는 무대에 가서만이 아니라 기록으로 남아 영원히 읽히고 기억되어야 할 문화였습니다"라고 전했다.
이홍렬은 "선배님은 엄격하셨지만 따뜻하셨습니다. 오늘 우리는 한 사람을 떠나보내지만 그분이 만든 길 위에 서 있습니다. 사랑하는 선배님 이제 아픔 없이 편안히 쉬십시오. 남겨주신 웃음과 말씀은 우리의 가슴과 무대 위에서 계속 살아서 숨 쉴 것입니다. 선배님의 명복을 빕니다. 유가족분들께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 고맙습니다. 선배님 사랑합니다. 선배님 그리고 언젠가 천국에서 다시 만나 기쁨으로 웃게 될 그날을 믿습니다. 유성이 형님 보고 싶을 거예요"라고 말하며 추도사를 마쳤다.

고 전유성 영정사진 든 이홍렬
이어서 김신영이 추도사를 읽으며 "나의 어른 전유성 교수님, 아직도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병원에서 교수님과 얘기도 나누고 사진도 찍고 발도 주무르고. 핸드폰 게임하시던 모습이 선한데 이제는 이렇게 마지막 인사를 드리게 됐습니다. 병원에서 교수님은 제게 제자를 넘어서 친구라고 불러주셨고 그 따듯한 마음 저는 평생 간직하겠습니다"라고 말하며 울먹였다.
이어 "모든 이들이 허무맹랑하다고 했던 아이디어를 밤새 즐거워해주던, 아무것도 아닌 저를 사람으로 만들어주신 분"이라며 "어린 제자라도 존중해 주시던 분, 그분이 바로 우리 교수님이셨습니다"라고 말하며 오열했다.
김신영은 "마지막 순간까지도 남을 배려하고 웃게 해주셨던 교수님의 모습,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병원에 계시면서 서울에 가서 일하라고 너무 힘들게 하는 것 같다고 하셨는데 저에게는 병원에서 4일이 40년 중에 가장 진실되고 진심이었습니다"라고 전했다. 김신영은 고 전유성이 건강악화로 병원에 입원했을 당시, 물수건을 갈아가며 간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신이 진행하던 라디오도 일주일간 자리를 비웠다.
김신영은 "이제는 걱정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곳에서는 부디 코도 골면서 주무시고 릴스, 틱톡, 게임도 편히 하시고 천국에 가서 그리운 분들과 회포도 푸시고. 교수님 저는 늘 즐거웠습니다. 마지막으로 건네주신 주유비 10만원. 끝까지 제자들을 챙기는 사랑하는 우리 교수님"이라고 전했다.

추도사 낭독하는 김신영

김신영
끝으로 "전유성 선배님. 그리고 나의 어른.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너무 사무치게 그립고 보고 싶습니다. 후배들을 사랑하는 그 모습 기억하겠습니다. 꼭 다음 생에도 교수님으로 나타나주세요. 나의 어른 전유성 선배님 사랑하고 보고 싶습니다. 천국에서 행복하고 재밌게 지내세요. 나이 차이 많이 나는 친구 김신영 올림"이라고 덧붙였다.
이후 김정렬은 평소 고인이 좋아했던 '숭구리당당 숭당당' 퍼포먼스를 보이며 "나의 형님 저희들도 가야 할 길을 형님이 먼저 가셨습니다. 저희들도 곧 들어갈 날이 오겠지요. 형님의 가는 길을 막고 싶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갈 때 같이 갔으면 얼마나 좋았으리라만 은, 웃으면서 가시는 길을 보내드리겠다. 숭구리당당 숭당당"이라고 전했다. 팽현숙은 "아저씨 좋은데로 가세요"라고 외치며 눈물을 보였고, 이영자도 눈시울을 붉혔다.

최양락, 팽현숙
사흘간 빈소에는 심형래, 유재석, 강호동, 김용만, 남희석, 이경실, 지석진, 신봉선, 이봉원, 이수근, 김경식, 이동우, 윤성호, 오나미, 허경환, 김지민 등 수많은 후배가 찾아와 조문했다. 배우 송승환, 가수 서수남, 박상철 등도 고인을 추모했다.
장지는 고인이 2018년부터 건강이 악화해 입원하기 전까지 머물렀던 전북 남원이다.
한편 1949년생인 전유성은 지난 25일 오후 9시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76세.
고인은 지난 6월 기흉 시술을 받은 뒤 건강 악화로 병원에 입원했고, 끝내 숨을 거뒀다.
전유성은 '1호 개그맨', '개그맨의 조상'으로 불린다. 전유성은 희극인을 ‘코미디언’이라 부르던 시대에 처음으로 ‘개그맨’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개그를 하나의 전문 공연 장르로 자리매김시키며, 한국 대중문화 속에서 개그의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후배 양성에도 힘쓴 고인은 ‘코미디 시장’을 운영하며 신봉선, 황현희, 박휘순 등 많은 방송인을 배출했다. 또한 KBS 장수 프로그램 '개그콘서트'의 초창기 제작에 참여해 한국 공개 코미디의 기반을 다졌다. 그뿐만 아니라 '1주일만 하면 전유성만큼 한다', '남의 문화유산 답사기', '조금만 비겁하면 인생이 즐겁다', '하지 말라는 것은 다 재미있다', '전유성의 구라 삼국지' 등 여러 저서를 남겼다.
사진=엑스포츠뉴스 고아라 기자
이예진 기자 leeyj0124@xportsnews.com